Work area Brand experience design Brand Stratege Brand identity Brand Verb Application design Art direction
Creative director Woo HaNeul
Design Park JeongHwan Woo HaNeul
Client Jungnang-Gu
Print & Production KN communication Red Printing Able Korea HongKi CND
Overview
관에서 민으로 일방적 행정 통보가 이뤄지던 형태를 벗어나 민과 관 서로가 함께 대화하고 소통해 정책을 결정한다는 '협치'는 정책적인 관심도가 높은 사람이 아니면 단어조차 생소할 뿐더러 의미는 더더욱 멀게 느껴지는 개념입니다.
우리는 중랑 지역 구민들에게 이 협치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 특유의 생소함을 해소시킬 직관적인 방향성, 그리고 기존의 여러 지역 브랜드 디자인과는 다른,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Interview
첫번째 '협치'의 일환으로 약 일주일 간에 걸쳐 담당 주무관 미팅을 비롯해, 실제 협치 정책에 참여 중인 협치위원과 10대 학생들까지 최대한 넓은 영역의 의견을 수렴하는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중랑구 협치 사업에서 개선해야할 점이 무엇인지, 민과 관 양측이 실제 바라는 바가 무엇인지를 찾아내고자 했습니다.
Project analyze
이 과정에서, 우리는 프로젝트 전개 초기에 문제점으로 지적했던 협치의 인지도에 대해 점검해보았습니다. 기회가 될 때마다 인터뷰 응답자와 브랜드 이해관계자들에게 협치의 의미를 한 단어 또는 짧은 문장으로 답할 수 있는지를 묻고 아래와 같은 추론에 도달했습니다.
Project goal
Keyword extraction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이해관계자들이 협치중랑에 기대하는 방향, 그리고 가장 필요를 느끼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집중하고 이를 키워드로 치환해 디자인의 목적과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Design principle
디자인을 통해 앞서 설정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협치에 대한 낮은 관심도를 극복해야 했습니다. 우리는 직관성을 강조한 클라이언트 요청에 더해, 트렌드에 섬세하게 반응하는 젊은 연령대에도 어필할 수 있도록 직관성과 섬세함을 아우르는 두 가지 방향의 디자인 원칙을 세우고자 했습니다.
Brand definition
Brand verb
협치중랑의 브랜드 언어는 공동의 참여를 유도하는 미래지향적이고 긍정적인 어조를 사용합니다. 밝고 유쾌한 어조는 적극적인 민과 관 모두의 마음가짐을 상징하므로, 문구 활용 및 작성 시 언어의 방향성을 일관되게 점검해야 합니다.
또한 연령과 계층을 불문하고 '협치'라는 생소한 개념을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는 공공 홍보물 등에는 협치에의 참여를 유도하는 직접적 표현을 사용하는 한 편, 정책분야에 관심도가 낮으면서도 트렌드에는 섬세하게 반응하는 계층에는 보다 절제되고 은유적인 표현을 통해 부담없이 브랜드가 인식될 수 있도록 합니다.
Brand identity
Design asset
심볼에 기반해 제작한 협치중랑 브랜드 패턴은 홍보물, 굿즈, 출입문, 벽면 등 다양한 물성에 활용하며, 패턴이 활용되는 위치의 비율과 크기 등을 고려해 잘라낼 경우 화살표 심볼을 기준으로 편집하되 해당 심볼의 일부가 잘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브랜드 심볼을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구성한 협치중랑 브랜드 디자인 모티프는 각 요소의 기본 단위를 깨지 않는 선에서 자유롭게 배치 및 활용하되, 임의의 색상 구성 변경이나 모티프의 상하좌우 비율 등이 변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